top of page

에이루트 건축사사무소는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어울리는 고유한 공간이 무엇인지 고민하며,
오래된 시간과 장소에 깃든 가치에 주목해 이를 천천히 들여다보고자 합니다.
관찰과 기록을 바탕으로, 사라져가는 것들 속에서 여전히 유효한 가치들을 발견하고,
그것을 우리의 언어로 다시 짓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a root architecture contemplates what kind of spaces are truly appropriate and unique for those living today.
We pay close attention to the values embedded in long-standing times and places,
seeking to carefully examine and reflect on them through architecture.

Grounded in observation and documentation,
we discover enduring values within things that are fading,
and continue the work of rebuilding them in our own architectural language.


 

대표, 소장 l 이창규  Lee Changkyu

국립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 전공

2018~2020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겸임교수

2020~2022 제주특별자치도 공공건축가 

2020~       제주특별자치도건축사회 연구위원회 위원

2020~       제주건축가회 제주다운 건축상 운영 위원

2020~       제주대학교 건축학부 출강

2024~       제주특별자치도 공공건축가

대표, 소장 l 강정윤  Kang Jung Yoon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 전공

핀란드 헬싱키 공과대학 (현, 알토대학교) Wood Program 수료

2019~2021 제주도교육청 학교공간혁신 촉진자

2020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겸임교수

2020~       제주특별자치도건축사회 연구위원회 참여위원

2024, 2025 제주건축담소 기획 및 운영

2025         청소년 나무학교 기획 및 운영

​​​

팀장 l 김현준  Kim Hyeon Jun

​국립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 전공

2019~2020 에이루트 인턴 

2022         제주건축가회 청소년 건축학교 튜터

2025         제주건축가회 청소년 건축학교 튜터

디자이너 l 김혜림  Kim Hye Rim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Awards /

제주 미래농업육성관 설계공모, 당선, "따뜻한 새로움, 미래농업 육성관", 2020

제주건축문화대상, 특선 "고산집", 2020

대한민국 목조건축대전, 최우수상  "청수 목월재", 2023

제주건축문화대상, 특선 "월정리 두집 - 하월라잇", 2024

2025 "젊은 건축가상" 수상, 2025

Exhibition /

제주 원도심 미래 풍경 건축전, "시간 속을 거닐다", 제주도시재생센터, 2020

제주도시재생센터 상생마당 오픈전, "구도심 속 재생공간", 제주도시재생센터, 2020

제주건축가회 회원전, "시간 속을 거닐다", 제주문예회관, 2020

제주 공공성 지도 "산지천_풍경의 회복", 산지천 갤러리, 2021

제주건축가회 회원전, "슬로보트", "고산집", 제주문예회관, 2021

6대 광역시+제주 건축 교류전, "관찰과 기록을 통해 제주를 바라보다", 제주문예회관, 2021

제주 공공성 지도 "서포터 랜드_새로운 배후지로서의 가능성", 제주시민회관, 2022

​제주건축가회 회원전, "제주미래농업육성관", "순한곶 제주", "해안동주택", 제주문예회관, 2022

제주건축가회 회원전, '하천리 낮은 집", 제주문예회관, 2023

제주 공공성 지도 "다시 또 학교_폐교된 학교 중심으로", 제주시청, 2024

제주건축가회 회원전, "월정리 두:집", 제주문예회관, 2024

제주건축문화대상 수상작전, "월정리 두:집", 2024

제주특별자치도건축사회 회원전, "색달동 삼나무 집", 2024

연결하는집: 대안적 삶을 위한 건축, "고산집", 국립현대미술관 MMCA, 2024 

Lecture /

국립 제주대학교 건축학과 특강, <건축가, 집을 짓다>, 2016

Clay 특강, <제주에서 집을 짓다>, 2018

한, 중 녹색건축업계 포럼 특강, <땅의 이야기를 담다>, 2019

제주건축가회 특강, <시간의 흔적을 기록하다_마을 조사 이야기>, 2019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전공 가을 정기 강연 "로컬시대의 젊은 건축가들", <삶과 풍토를 담다>, 2021

국가한옥센터 세미나 "제주 건통가옥의 과거와 현재", <제주의 한옥>, 2021

제주건축가회 특강, <삶과 풍토를 담다>, 2022

진주시 공공 건축가 세미나, <제주적 보편성과 한국적 지역성을 고민하다>, 2023

서귀포시 동부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_제주와 건축: 짓다, 살다", <제주의 집>, 2023

국립 제주대학교 건축학과 건축설계2 특강, <대지계획의 문화, 역사적 맥락>, 2023

이화여자대학교 대학교 진로탐색 프로그램, <건축으로 제주를 읽다>, 2024

​서귀포 고등학교 특강, <제주에서 건축하기>, 2024

도시공상가 특강, <건축으로 제주를 읽다>, 2024

서귀포시 동부도서관 특강 "제주 건축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현대적 감각으로 만나는 시대 건축>, 2024

호남대 건축학부 제주답사 및 특강, <건축으로 제주를 읽다>,2024

와이드 AR 땅집사향 "Architects in Korea (시즌6)", <떨어진 거리만큼>, 2024

CAC 갈피프로젝트 21 "나무의 집4", <제주의 낭집>, 2024

​베케 북토크, <북토크: 김종진 작가와의 만남>, 2025

전남대학교 건축디자인학과 2025년 연간특강 "SPECTRUM", <관찰에서 건축으로>, 2025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건축학개론 특강, <제주에서 찾은 건축의 가치들>, 2025

국립 제주대학교 건축학과 기초디자인 특강, <제주에서 찾은 건축의 가치들>, 2025

Publication /

[단행본] 제주건축단상 2020 (공저), 제주특별자치도건축사회, 2021     >>> link

[단행본] 나는 제주 건축가다 (공저), 나무 발전소, 2021

[단행본] Korean Architecture Competition Selection 03 (공저), 2021

[단행본] 제주건축단상 2021 (공저), 제주특별자치도건축사회, 2022     >>> link

[단행본] 제주한옥, 박씨초가 이야기 (공저), 건축공간연구원 국가한옥센터, 2022     >>> link 

[단행본] 제주건축단상 2022 (공저), 제주특별자치도건축사회, 2023     >>> link

[단행본] 제주건축단상 2023 (공저), 제주특별자치도건축사회, 2024     >>> link

[단행본] 제주건축단상 2024 (공저), 제주특별자치도건축사회, 2025     >>> link

[단행본] 삼도2동 역사문화지 (공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문화원연합회, 2025

[보고서] 무근성 지역 올래를 활용한 정주환경 개선전략에 관한 연구 (공저), 제주특별자치도 도시재생 지원센터, 2016

[보고서] 제주의 마을공간 조사 보고서_온평리, 한국건축가협회 제주 건축가회, 2020

[보고서] 제2차 제주특별자치도 건축자산 기초조사 학술용역 보고서 (공저), 제주특별자치도, 2020

[보고서] 제주특별자치도 애월읍, 한림읍 일대 한옥 등 건축자산 기초조사 및 DB 구축 (공저), 제주특별자치도, 2020

[보고서] 제주공공성지도_행복한 도시공간 만들기 (공저), 제주특별자치도, 2021

[보고서] 제주공공성지도_걷고 싶은 도시 공간 만들기 (공저), 제주특별자치도, 2022

[보고서] 총괄, 공공건축가 기획과제 보고서_주민과 함께 그려보는 마을 공공 건축 (공저), 제주특별자치도, 2024

[도록] 연결하는 집: 대안적 삶을 위한 건축, 국립현대미술관 MMCA, 2024

Magazine & Webzine /

[JEJU magazine iiin] small wedding in Jeju 제주 어머니집, 가을, 2015

[MAGAZINE S] art in island_제주 어머니집, 5월, 2016

[행복이 가득한 집] 사진작가 김한준_제주행 슬로보트, 6월, 2018     >>> link

[전원 속의 내집] 제주 호근동 주택_호젓함이 머무는 곳, 1월, 2019     >>> link  

[행복이 가득한 집] 잔잔한 냇물처럼 흘러가는 제주살이_과수원집 소원재], 10월, 2019     >>> link

[SPACE (공간)] 곶자왈을 품은 나무집: 청수 목월재, 12월, 2023     >>> link

[SPACE (공간)] 조경과 건축이 서로를 공유하는: 베케, 7월, 2024     >>> link

[까사리빙] 제주다운 집을 찾아서, 8월, 2024     >>> link

[전원속의 내집] 마당을 사이에 둔 월정리 두:집, 8월, 2024     >>> link

[BOB] VEKE, 9월, 2024     >>> link

[BOB] Woljeong-ri Doojip, 9월, 2024     >>> link

[건축세계] JEJU ARCHITECTS_a root architecture, 2월, 2025

[전원 속의 내집] 곶자왈 곁의 중정주택, 보성리 솔비나무 집, 3월, 2025     >>> link

[와이드AR_SE09호] 한국의 건축가들 Ⅸ, 3-4월, 2025     >>> link     

[BOB] SAEKDAL-DONG OFFICE & RESIDENCE, 6월, 2025     >>> link

[제주건축] 온평리 마을_마을을 기록한다는 것, 11월, 2020     >>> link

[제주건축] 제주 돌집의 원형을 찾다, 고산집, 1월, 2021     >>> link

[제주건축] 새로운 학교공간 만들기, 4월, 2021     >>> link

[제주건축] 조수리 마을 - 서서히 진화하는 마을, 4월, 2022     >>> link

[제주건축] 돌창고와 제주풍경_삼나무로 둘러싸인 감귤과수원과 돌창고, 4월, 2023     >>> link

[제주건축] 마당에 대한 고민, 해안동 주택, 7월, 2023     >>> link

[제주건축] 서서히 진화하는 제주의 집, 하천리 H, 5월, 2024     >>> link

[제주건축] 마을 가로변 제주집의 특징_신창리 마을 중심으로, 11월, 2024     >>> link

[제주건축] 지형과 돌담으로 감싸진 월정리 두:집 (하월라잇), 11월, 2024     >>> link

[STAYFOLIO_PICK] 어머니 집 같이 따뜻하고 정갈한 돌집 스테이, 1월, 2016

[STAYFOLIO_PICK] 콴도제주_언제나, 언제라도, 2월, 2017

[brique] 프로젝트: 슬로보트, 10월, 2018     >>> link

[brique] 프로젝트: 콴도제주, 10월, 2018     >>> link

[brique] 프로젝트: 고산집, 10월, 2018     >>> link

[brique] 프로젝트: 호근동 주택, 2월, 2020     >>> link

[brique] 프로젝트: 과수원집 소원재, 4월, 2020     >>> link

[VMSPACE] 서서히 진화하는 제주 집: 하천리 H, 1월, 2024     >>> link

[VMSPACE] 익숙한 풍경의 마당집: 해안동 주택, 2월, 2024     >>> link

[DESIGNWHOS] 제주의 풍토와 어우러지는 집_청수 목월재, 4월, 2024     >>> link

[DESIGNWHOS] 땅과 가까운 낮은집_하천리 낮은 집, 5월, 2024     >>> link

​[DESIGNWHOS] 익숙한 풍경의 마당집_해안동 주택, 5월, 2024     >>> link

[hey pop] 제주도 ‘베케’의 두 번째 공간을 설계한 사람들, 6월, 2024     >>> link

[brique] 프로젝트: 제주 곶자왈 사이, 달을 품은 나무집 '청수 목월재', 9월, 2024     >>> link

[brique] 프로젝트: 자연과 건축이 만나고 반응하는 ‘베케', 9월, 2024     >>> link

[C3 KOREA] 자연 앞에 낮고 어둡게, 10월, 2024     >>> link

[brique] 프로젝트: 담으로 둘러싸인 안온한 쉼터 ‘월정리 두: 집', 10월, 2024     >>> link

[마실와이드] 주제의 선명성과 구현의 치열함을 담아낸 세 팀, 2025년 젊은건축가상 수상, 9월, 2025    >>> link

[VMSPACE] 2025 젊은건축가상 수상자 발표, 9월, 2025     >>> link

Journal /

[미디어제주] 건축이 제주 풍토에 어떻게 어울릴지 고민해야, 9월, 2020     >>> link

[금강신문] 세상의 주인공은 바로 나12_이창규 건축가, 11월, 2020     >>> link

[미디어제주] 제주시 원도심을 이렇게 변화시켜 보면 어떤가요, 12월, 2020     >>> link

[미디어제주] 선생님과 학부모들이 힘을 합쳐 공간을 바꾸자고 했어요, 7월, 2021     >>> link

[문화뉴스] 제주의 건축, 제주를 위한 건축을 하는 이창규ㆍ강정윤 건축가, 8월, 2021     >>> link

[문화뉴스] <2022년 달라지는 문화예술-①건축편]>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주거 공간의 변화, 12월, 2021     >>> link

[문화뉴스 기고] 글로컬, 나의 그리고 우리의 안과 밖, 2월, 2022     >>> link

[미디어제주] 세대 이어주는 풍경을 공유할 때 중요한 건 ‘길’이죠, 2월, 2022     >>> link

[문화뉴스 기고] ‘우리 집’에 있는 ‘나’의 공간 그리고 다시 ‘함께’하는 공간, 3월, 2022     >>> link

[미디어제주] '행복의 건축’은 우리 학교에서 찾으세요, 8월, 2022     >>> link

[건축사신문] 수상 그 후, 이창규 건축사 2024 제주건축문화대상 특선 수상작 ‘월정리 두:집(하월라잇)’, 3월, 2025    >>> link

[한국경제] 변화무쌍 제주날씨…"서울처럼 집 지었 다간 폭싹 망했수다", 6월, 2025    >>> link

[연합뉴스] '2025 젊은건축가상'에 김선형·이창규·강정윤·홍진표·정이삭, 9월, 2025    >>> link

[미디어제주] 에이루트건축사사무소 이창규·강정윤, ‘젊은 건축가상’ 수상, 9월, 2025    >>> link

[대한경제] 일상에서 길어올린 건축언어…차세대 거장 5인 ‘주목’, 9월, 2025    >>> link

[한라일보] <양건의 문화광장> 어느 제주 건축가의 ‘젊은 건축가상’ 수상을 축하하며, 9월, 2025    >>> link


Film / 

[방송] 건축탐구-집 "옛집, 공유별장이 되다_11가족의 돌집", EBS, 2021     >>> link

[방송] 모두의 TV "그래! 제주 건축이야_EP1. 제주스러운, 제주다운", 제주MBC, 2022     >>> link

[방송] 찾아가는 톡톡카페 시즌3 "다시 시작할 수 있을까?_제주스러운, 제주의 미를 살리며 건축을 설계하는 건축가", 제주MBC, 2022     >>> link

[방송] 건축탐구-집 "1세대를 위해 손주며느리가 지은 집", EBS, 2024     >>> link

[방송] 핸썸가이즈 제주편 "베케, 목월재", tvN, 2024

[영상] 젊은 건축가상 공개심사, 새건축사협의회, 2021     >>> link

[영상] 제주건축담소 "시대성을 관통하는 제주건축찾", 제주특별자치도건축사회, 2024     >>> link

[영상] 제주건축담소 "일상에서 지속가능한 제주건축방법 찾기", 제주특별자치도건축사회, 2024     >>> link

[영상] 젊은 건축가상 공개심사, 새건축사협의회, 2024     >>> link

[영상] 국립현대미술관 큐레이터 전시투어 "연결하는 집: 대안적 삶을 위한 건축", 국립현대미술관 MMCA, 2024     >>> link

[영상] 젊은 건축가상 공개심사, 새건축사협의회, 2025     >>> link

​​

청수 목월재-09.jpg

Copyright 2025. a root architecture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